약사들을 위한 이야기/정책플러스

[식약처]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개정고시

유상준 2022. 9. 19. 15:29

안녕하세요. 개발하는 약사 유상준입니다.

9월 15일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에 대한 일부 개정 고시가 있어 공유드립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22-69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1. 개정 이유

 

단백질의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를 식품에 사용 가능한 모든 원료로 확대하고, 기능성 원료인 인삼에 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능성 내용을 추가하는 한편, 식품으로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알로에 껍질(라텍스를 포함)이 함유되는 알로에 전잎을 기능성 원료에서 삭제하고,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기준을 명확히 하며,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 규격에 지방산 및 식물스테롤 규격을 추가하여 저가의 다른 식용 유지를 혼합하는 소비자 기만 행위를 방지하고, 총 폴리페놀 시험법을 개정하고자 함

 

2. 주요 내용

 

. 단백질 원재료의 확대(  3. 1. 1-27)

 

1) 단백질 제조에 사용되는 원재료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음.

 

2) 단백질을 보충할 수 있는 식품원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원재료를 확대 함.

 

3) 사용 가능한 단백질의 원재료 확대로 다양한 제품이 출시 될 것으로 기대됨.

 

. 인삼의 기능성 내용 추가(  3. 2. 2-1)

 

1) 인삼 제품의 활성화를 위하여 개별인정 받은 기능성을 고시화할 필요가 있음.

 

2) 개별인정형 원료로 인정받은 인삼의 기능성 내용(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해당 고시형 원료에 반영함.

 

3) 고시형 원료의 기능성 내용 확대에 따른 제품 생산 활성화를 기대함.

 

. 기능성 원료인 알로에 전잎 삭제(안 제 3. 2. 2-7)

 

1) 알로에 껍질(라텍스를 포함)이 함유되는 알로에 전잎에서 인체 위해의 우려가 제기됨.

 

2) 기능성 원료의 목록에서 알로에 전잎을 삭제함.

 

3) 위해성이 확인된 기능성 원료를 삭제하게 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확보가 기대됨.

 

.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기준 명확화(안 제 3. 2. 2-13)

 

1)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기준에 명시된 퀘르세틴과 켐페롤의 비율 표시에 모호함이 있음

 

2) 제조기준에 퀘르세틴과 켐페롤의 비율 표시를 명확히 함

 

3)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기준에 대한 소비자 및 영업자의 이해도가 향상됨

 

.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의 규격 추가(안 제 3. 2. 2-28)

 

1)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에 저가의 다른 식용유지를 혼합하는 사기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규격 마련이 필요함

 

2) 총 지방산 및 식물스테롤 규격을 신설함

 

3) 쏘팔메토 열매 추출물의 품질관리를 위한 규격 마련으로 소비자 기만행위 방지 및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를 제고함

 

. 시험법 개정(  4. 3. 3-59)

 

1) 총 폴리페놀 시험을 위한 시약이 단종됨에 따라 대체할 시약이 필요함.

 

2) 총 폴리페놀 시험법의 일반시약을 추가함.

 

3) 시험법 개정으로 효율적이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3. 기타 참고사항

 

. 관계법령 :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14조 및 15

 

. 예산조치 : 별도조치 필요 없음

 

. 합 의 : 해당사항 없음

 

. 기 타

 

1) 행정예고

 

) 공고 제2022-121, 2022. 3. 2.(2022. 3. 2.  2022. 5. 2.), 2022-168, 2022. 4. 11.(2022. 4. 11.  2022. 6. 10.)

 

2) 건강기능식품심의위원회

 

) 기능성 원료성분 인정 및 기준·규격 분과 심의: 2022. 7. 8.

 

3) 규제심사

 

) 국무조정실 규제심사 대상여부 : 규제심사 대상 제2022-826(2022. 2. 28.), 2022-1262(2022. 3. 31.)

 

) 식약처 자체규제심사(2022. 7. 20. 7. 21., 원안의결)

 

) 법제처 심사 : 법령위반 및 위임범위 일탈 없음(2022. 7. 22. 7. 29.)

 

) 국무조정실 규제개혁위원회 예비심사 : 비중요 규제(850, 2022. 9. 2.)

 

출처 : https://www.mfds.go.kr/docviewer/skin/doc.html?fn=20220915094530231.hwpx&rs=/docviewer/result/data0008/14823/1/202209 

 

Document Viewer

 

www.mfds.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