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들을 위한 이야기/뉴스아티클

챔프부터 청심원까지…내년 약국 공급가 줄인상 예고

유상준 2022. 11. 16. 14:43

안녕하세요. 개발하는 약사 유상준입니다.

내일이 벌써 수능일이네요. 벌써 2022년도 이렇게 지나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23년 1월 1일자로 외약외품부터 일반약까지 제품사입가격이 대대적으로 인상된다는 기사가 났네요.

아마 이미 사입가격 인상 리스트를 받으신 분들도 계시겠지요.

고물가 기조가 이제 제약, 약국까지 넘어오는 것 같네요.


챔프부터 청심원까지…내년 약국 공급가 줄인상 예고

-제약도매 영업사원, 사입가 인상제품 리스트 만들어 배포

-약국들 "의약외품부터 유명일반약까지 대다수 인상"

-5~30%까지 인상폭 다양, 판매가 책정고민

-데일리팜 김지은기자

 

내년 1월 1일자로 외약외품부터 일반약까지, 약국에서 취급하는 제품들의 사입 가격이 대대적으로 인상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지역 약국가에 따르면 최근 직거래 제약사와 의약품 도매업체 담당자들이 거래 약국들에 ‘2023년 1월 1일자 사입가격 인상 제품’ 리스트를 속속 제공하고 있다.

일선 약국들에 제공돼 공유되는 리스트에는 살충제나 드링크류와 같은 일반 제품 이외에 일반의약품 대다수가 포함돼 있다.

인상폭은 적게는 5%에서 많게는 30%대까지로, 업체들은 전반적인 물가 인상과 더불어 원자재 가격 인상 등을 이번 사입가 인상의 배경으로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의약품 도매업체들과 지역 약국에 안내되고 있는 사입가격 인상 예정 품목에는 평소 판매가 많은 감기약, 소화제, 청심원 등의 제품이 포함돼 있어 약국가에는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의약품 도매업체 관계자는 “내년 1월 1일자로 사입가가 인상되는 제품이 워낙 많다 보니 영업사원들이 거래처 관리 차원에서 개별적으로 리스트를 만들어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인상 전에 미리 공지되면 관련 제품의 가수요가 발생할 수 있어 도매업체 본사 차원에서 관련 리스트를 미리 공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전반적으로 제품 사입가가 인상되다 보니 이 분위기에 편승해 그간 가격을 올리지 못했던 업체들이 전반적으로 가격을 올리는 상황”이라며 “내년 1월 1일을 타이밍으로 보는 것이다. 인상 예정 제품에는 챔프나 익수 우황청심원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안다. 약국에는 영향이 미칠 수 있다”고 했다.

▲ 약국에 제공된 2023년도 1월 1일자 사입가 인상 예정 제품 리스트
일각에서는 내년도 대대적인 약국 제품 사입가 인상을 앞두고 약국들의 판매가격 조정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환자와의 가격 마찰 등을 고려해 사입가격이 인상돼도 기존 판매가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약국과 판매 가격을 조정하는 약국들 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해 일부 제약사의 경우 사입가 인상 고지와 더불어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한 판매가격을 약국들에 함께 공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의 한 약사는 “약국에서 판매가는 자율로 결정한다 하지만 업체들에서 사입가 인상만 통보하고 판매가격에 대해서는 일정 선을 정하지 않다 보니 약사들은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스트레스를 받는다”면서 “일부 업체나 담당자는 이번에 사입가 인상분과 적정 수준의 판매가를 같이 공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오히려 더 합리적이라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 약사는 “약국 제품에 대한 사입가 상승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특히 내년 1월 1일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전반적인 사입가가 올라갈 것으로 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약국만 기존 판매가를 고수하는 것을 합리적이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출처 :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3961 

 

[데일리팜] 챔프부터 청심원까지…내년 약국 공급가 줄인상 예고

[데일리팜=김지은 기자] 내년 1월 1일자로 외약외품부터 일반약까지, 약국에서 취급하는 제품들의 사입 가격이 대대적으로 인상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지역 약국가에 따르면 최근 직거래 제

www.dailypharm.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