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약사 유상준
요즘 유행하는 이것, 아데노바이러스 본문
안녕하세요. 개발하는 약사 유상준입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바이러스성 급성호흡기감염증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독감과 코로나 그리고 이러한 급성호흡기감염증이 한꺼번에 유행하는 '멀티데믹'까지 닥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 중 아이들 사이에서 요즘 많이 걸리고 있는 아데노 바이러스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노로바이러스는 많이 들어보셨지만, 아데노바이러스는 많이 알려지지 않아 생소하실텐데요.
증상과 치료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데노 바이러스란?
아데노 바이러스는 1953년 아데노이드 조직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 조직의 이름을 따 아데노바이러스라고 명명되었습니다.
현재까지 다양한 척추동물에서 50종, 100여개의 그룹에서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그 만큼 종류가 많다는 뜻이기도 하겠죠.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아데노바이러스는 소아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지만 성인에게도 유행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감염경로
아데노바이러스 역시 다른 바이러스들과 다르지 않게 사람과 사람간의 비말을 통해 옮습니다. 환자의 기침과 재채기, 신체 접촉이나 공통물건 접촉을 때도 옮을 수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의 경우 감염때문에 증상이 나아졌다고 해도 다른 사람에 대한 전파력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면역력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 옮기지 않도록 생활에서 조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호흡기에 감염되면 독감과 유사한 증상이 나오며 위장관에서 감염이 일어나면 설사부터 발열, 구토까지 전형적인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인후염으로 인해 39도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기도 하고, 이와 함께 양쪽 눈이 빨개지는 인후결막염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눈꼽이 많이 끼고 눈물이 그렁그렁하게 맺힙니다. 다른 자료에 따르면 출혈성 방광염이 생길 수도 있으며 혈뇨를 보일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치료
아데노 바이러스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혈액검사를 비롯해 다양한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바이러스를 치료하기 위해 특화된 약은 현재는 없습니다. 다만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물을 많이 마셔서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을 통한 자가회복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위에서 언급했던 증상들을 완화시키기 위한 약물을 사용합니다.
무엇보다 아데노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른 바이러스와 마찬가지로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고 손을 잘 씼는 것이 전파를 막을 수 있습니다.
'약사들을 위한 이야기 > 추천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통의날, 최광훈 회장과 젊은 회원들과의 대화 (0) | 2022.12.06 |
---|---|
2022년 올해의단어는? 가스라이팅 (2) | 2022.11.30 |
작년 보다 더 어려워진 트렌드 능력고사! 우리도 한번 해볼까요? (0) | 2022.10.17 |
오픈 마켓 상품 등록 법! 어렵지 않아요! (0) | 2022.10.14 |
2023 트렌드 코리아 - 10가지 키워드 챙겨가세요!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