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약사 유상준
트리플데믹에 병의원 '북적'...약국, 조제약 부족에 '진땀' 본문
안녕하세요. 개발하는 약사 유상준입니다.
품절약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네요. 소아과 밑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저도 사정이 다르지는 않는데요.
20일 기준 코로나 19 신규환자가 98일만에 최다치를 보이면서 연속 8만명대를 보이고 있네요.
이제 한번 걸린 사람들의 재감염시기가 돌아오고 있는 것 같아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독감과 일반감기까지 함께 유행하는 트리플데믹에 약국의 품절약수요가 더 높아지고 있는데요.
중국의 사정도 좋지 않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까지 영향을 끼질까 걱정이 되네요.
트리플데믹에 병의원 '북적'...약국, 조제약 부족에 '진땀'
- "기본 1시간 대기"…일반약 판매추세, 7월 BA.5 유행 수준 넘어
- 마그밀·슈다페드 대체제 없고 타미플루도 역부족
- 데일리팜 강혜경기자
연말을 앞두고 코로나19와 독감, 감기가 동시에 유행하면서 병의원과 약국이 환자들로 북적이고 있다.
20일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8일만에 최다치인 8만8172명을 보이며 이틀 연속 8만명대를 보였다. 여기에 50주차 독감 의사환자분율은 30.3명으로 전 주 17.3명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과와 이비인후과를 중심으로 기본 대기 시간만 1시간 가까이 되다 보니 약국의 일반약 수요 역시 눈에 띄게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마그밀이나 슈다페드와 같이 대체제가 없는 약부터 당장 독감 환자에게 투약해야 하는 타미플루까지 수급이 원활치 않다 보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약사들은 올해 연말과 내년 초 국내에서도 중국과 같은 대규모 품귀가 빚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상황이다.
◆한 주만에 해열진통제 수요 35% 껑충…감기약, 인후질병치료제도 13% ↑
약국현장 데이터 분석 서비스 케어인사이트(www.careinsight.co.kr)에 따르면 51주(12월 11~17일) 해열진통제 수요는 전 주 보다 35% 늘었으며 감기약과 인후질병치료제도 각각 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열진통제의 경우 특히 타세놀정500mg 판매액이 이전 주의 3.25배를 기록하며 수요가 급증했으며 얀센아세트아미노펜정과 게보린도 각각 17%와 4% 증가했다.
기침감기약 판매도 10주 연속 증가세를 보였는데, 10주 전인 41주차(10월 2~8일) 판매액의 2.14배를 기록했다. 해열진통제와 기침감기약 수요는 14주차(3월 27~4월 2일)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BA.5 유행 당시를 가뿐히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인후질병치료제 역시 48주를 제외하면 10주 연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베타딘인후스프레이 판매액이 28% 증가했고, 쎄파렉신캅셀과 소렉신연조엑스도 18%와 1% 판매액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판매액은 다른 제품군에 비해 변동폭이 적었지만, 최근 2주 새 6%, 8%씩 증가했다.
코로나 자가검사키트 역시 49주 1만1339개, 50주 1만3665개, 41주 1만5563개로 증가하고 있으며, 약국당 일평균 판매량 역시 4.05개, 4.87개, 5.48개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타액 검사 키트 역시 한 주 만에 277개에서 389개로 판매량이 늘어났다.
◆"패취 급하게 구합니다"…플루현탁액도 전체 품절
전문약 부족 현상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원료부족 등으로 인해 제약사에서도 생산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보니 약국가에서는 다시 교품에 의지해 하루하루 살아가는 약국들이 늘고 있다.
약가가 인상된 아세트아미노펜은 물론이고 마그밀과 슈다페드, 시네츄라, 판콜, 세토펜, 코푸시럽, 포비딘, 코대원, 테라플루, 콜대원 등에서 수급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다는 게 약사들의 얘기다.

특히 타미플루 역시 수요가 늘어나면서 품절이 반복되고 있다.
경기지역 약국은 "지난 주 보다는 75mg 제제의 경우 수급이 나아지긴 했지만, 현탁용 분말 제제는 완전 품절"이라며 "엔피플루, 유유타미, 비셀플루, 신풍플루, 타미포스, 오셀타미, 셀타플루, 콜미플루, 타미프로, 삼진플루, 보령플루, 동화플루, 타미르 등 현악용 제제가 모두 품절"이라고 말했다.
또 75mg 제제 역시 숨통은 트였지만 최대 주문 수량 등이 걸려있고, 타미프로캡슐·콜미플루캡슐·신풍플루캡슐·유한엔플루캡슐·오셀타원캡슐 등도 재고가 넉넉치 않은 상태라는 지적이다.
서울지역 약국은 "소아 현탁액과 건조시럽, 패취제 등도 수급비상"이라며 "아직까지는 주문해 둔 재고가 있지만 지금같은 추세라면 금세 부족현상이 나타날 것 같다"고 말했다.
◆열, 기침, 콧물, 오한…복합 증세에 처방약 가짓수-처방일도 늘어
이번 트윈데믹의 또 다른 특징은 열과 기침, 콧물, 코막힘, 목아픔, 눈물, 오한 등 복합 증세를 보인다는 점이다.
다른 서울지역 약국은 "특정 증세 보다는 여러 증상을 복합적으로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어났다"며 "일반약 가운데서도 종합감기약 수요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약국도 "여러 증세가 복합돼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전반적인 현상인 지는 모르겠지만 처방약 가짓수 자체가 늘어난 것 같다"며 "약을 먹어도 잘 낫지 않는다는 분들이 있고, 연말을 앞두고 있는 만큼 가짓수 뿐만 아니라 처방일수 자체를 길게 받는 분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이 약국은 "최근 중국의 코로나19 상황과 약 부족 현상이 심각하던데, 우리나라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조심스러운 입장"이라고 전했다.
출처 :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5211
[데일리팜] 트리플데믹에 병의원 북적...약국, 조제약 부족에 진땀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연말을 앞두고 코로나19와 독감, 감기가 동시에 유행하면서 병의원과 약국이 환자들로 북적이고 있다. 20일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8일만에 최다치인 8만8172명을 보
www.dailypharm.com
'약사들을 위한 이야기 > 뉴스아티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사들이 꼽은 시급 현안 '품절약', 중요 현안 '성분명처방' (0) | 2022.12.21 |
---|---|
비대면 진료 도입 내년 본격화...디지털헬스케어법 제정 (0) | 2022.12.21 |
내년 1월부터 '대면투약료' 절반 인하…6세미만·임산부는 유지 (0) | 2022.12.20 |
중·고교생 희망직업, 약사 선호도 가파른 상승세 (0) | 2022.12.20 |
약국 10만원 이상 현금영수증 발행시 주의할 점은? (1)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