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약사 유상준

개국약사 2명 중 1명 "성분명처방 실현 가능성 없다" 본문

약사들을 위한 이야기/뉴스아티클

개국약사 2명 중 1명 "성분명처방 실현 가능성 없다"

유상준 2023. 1. 3. 16:31

안녕하세요. 개발하는 약사 유상준입니다.

데일리팜에서 팜서베이를 진행했네요. 2023년 약국경영 및 약사정책 전망에 대한 조사였는데요.

응답한 약사들의 50%가 성분명처방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답했다고 하네요.

사실,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건 사실이죠.

약사회에서도 여러가지 방법으로 노력하고 있으니, 성분명처방의 실현을 기대해봅니다.


개국약사 2명 중 1명 "성분명처방 실현 가능성 없다"

- [DP스페셜]데일리팜 팜서베이, 2023년 약국경영·약사정책 전망 여론조사

- 약사회 중점 정책엔 성분명 처방>약배달 저지>한약사 문제 순

- 최광훈 집행부 긍정평가 13.8%, 부정평가 32.9%, 보통이다 53.5%

- 데일리팜 강신국 기자

 

개국약사 2명 중 1명은 성분명 처방 실현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팜 팜서베이는 2023년 새해를 맞아 개국약사 413명을 대상으로 '약국경영, 약사정책 전망'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성분명 처방 실현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서 약사 47.5%는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답했고 '실현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은 25.9%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26.6%.

즉 분업 이후 23년 간 지속돼 온 이슈인 성분명 처방 제도화가 얼마나 어려운 과제인지 약사들도 인지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반면 약사회가 가장 중점을 둬야 할 정책에서는 성분명 처방을 꼽은 약사가 39.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약 배달 저지 33.4%, 한약사 문제 해결 13.6%, 화상투약기 저지 9.7%, 처방리필제 도입 3.9% 순이었다.


비대면 진료와 함께 논의되고 있는 약 배송 도입에 대해 약사 47.9% '도입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도입될 것이다' 27.6%,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24.5%였다.

이는 국회에 제출된 법안이 비대면 진료에만 국한돼 있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출범 1년차를 맞은 최광훈 집행부 회무 성과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긍정 평가'는 13.8%, 못하고 있다는 '부정 평가'는 32.9%였다. '보통이다'라는 응답이 53.5%였다.

최광훈 집행부 회원 소통에 대한 평가에서는 '긍정 평가' 15.2%, '부정 평가' 33.9%로 회무 성과 조사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약사의 사회적 위치와 직능 미래에 대해 '긍정 평가'는 15.9%, '부정 평가'는 38.7%로 큰 차이를 보였다. '보통이다'라는 응답은 45.4%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데일리팜 팜서베이를 통해 지난달 27일 진행됐다. 팜서베이는 데일리팜이 약업계 주요 현안과 보건의약·헬스케어 전반에 대한 트렌드 분석을 위해 선보이는 서비스다.

 

출처 :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5634 

 

[데일리팜] 개국약사 2명 중 1명 성분명처방 실현 가능성 없다

[데일리팜=강신국 기자] 개국약사 2명 중 1명은 성분명 처방 실현 가능성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일리팜 팜서베이는 2023년 새해를 맞아 개국약사 413명을 대상으로

www.dailypharm.com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