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는 약사 유상준
택배 선택한 환자, 약 안 오자...결국 대면진료·조제 본문
안녕하세요, 개발하는 약사 유상준입니다.
짧았던 추석연휴를 마치고 이제 다시 일상으로 돌아왔는데요.
또 들려오는 태풍소식, 그리고 코로나 재유행 소식에 마음이 가볍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이번 추석연휴에도 비대면 진료 및 약 배달을 이용한 분들이 꽤 많이 있었던 것 같은데요.
실제 의료공백을 채우기에는 쉽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네요.
비대면 진료와 약배달관련 기사 공유드립니다.
추석연휴 의료공백 메운다더니, 플랫폼 홍보 말잔치로 그쳐
|
"재진료, 재처방에 건보재정 낭비…지난 설에도 그랬는데 또"
|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추석 연휴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나섰지만 실제 의료공백을 메우는 데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앱을 통해 비대면진료는 이뤄졌지만, 약배달이 제때 이뤄지지 않는 등 문제로 비대면진료를 봤던 환자들이 결국 대면진료와 대면조제를 받아야 하는 상황들이 약국가에서 속속 발생하면서 비대면진료, 약배달에 대한 약국가의 부정적인 기류 역시 팽배해지고 있다.
12일 추석 연휴 기간 휴일지킴이약국을 자처했던 일부 약국에 따르면 실제 이 같은 문제가 불거졌던 것으로 확인됐다.

A약국은 환자로부터 다른 약국에서 조제된 처방전 사본을 받는 일이 빚어졌다. 알고 보니 환자는 앱에서 진료를 보고 약은 택배로 받을 예정이었지만 증상이 심해지자 앱에 올라 있는 PDF형식의 사본 처방전을 출력해 동네 휴일지킴이약국인 A약국을 찾게 된 것.
결국 A약국은 환자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한 뒤 자정까지 문이 열려 있는 의료기관을 안내했고,
환자는 다시 처방전을 받아 약국을 방문해 약을 조제해 갔다.
비대면진료를 받고도, 택배의 경우 주말, 공휴일, 연휴 등을 제외하고 평일 기준 2, 3일이 소요되다 보니 미처 약을 받지 못했고 약국 역시 이미 다른 약국에서 수령한 처방이다 보니 재진료, 재처방 이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었던 것이다.
약사는 "환자가 선택을 되돌리거나 선택지가 없었던 것 같다. 연휴에도 문을 여는 의료기관과 약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대면진료를 보고 당장 약을 받을 수 없어 다시 진료를 보고 약을 처방 받아야 하는 상황은 비효율적일 뿐더러 건보재정 낭비이기도 하다"며 "지난 설 연휴에 이어 추석 연휴에까지 같은 일들이 되풀이 되는 상황이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B약국도 연휴기간 중 PDF처방전을 가져 와 조제를 요구하는 환자를 마주했다. 앱을 통해 비대면진료를 받았다는 환자는 PDF형태 약국제출용 처방전을 가지고 B약국을 방문했고, 이 약국은 플랫폼 업체에는 제휴돼 있지 않았지만 하는 수 없이 약을 조제해 줄 수밖에 없었다.
B약국은 "환자가 퀵서비스로 배달을 받으려 했지만 인근 약국을 찾지 못해 열린약국을 찾아 왔다고 하더라"라며 "환자가 다급해 하니 할 수 없이 조제를 해줬지만 찜찜한 마음을 지울 수 없었다"고 말했다.
플랫폼 업체들이 약배달에 있어 각기 다른 방식과 가이드를 가지고 있다 보니 휴일지킴이약국들에 뒷수습이 맡겨 졌다는 것.
B약국은 "환자의 얘기를 듣고 확인해 보니 플랫폼 업체들의 배송 기준이 각기 다르고 심지어는 5, 6일 진료분부터는 13일 이후 택배로 배송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연 조제약이 일주일 이상 소요돼 환자에게 도착했을 때 실효성이 있다고 할 수 있을지, 안전성과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을지 등도 의문"이라며 "진료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과 정부 차원의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출처 : htt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1734
[데일리팜] 택배 선택한 환자, 약 안 오자...결국 대면진료·조제
[데일리팜=강혜경 기자]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들이 추석 연휴 의료 공백을 최소화하겠다고 나섰지만 실제 의료공백을 메우는 데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앱을 통해 비대면진료는 이
www.dailypharm.com
'약사들을 위한 이야기 > 뉴스아티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건→1872건…부작용 보고 전국 1위된 평택시약 (0) | 2022.09.16 |
---|---|
코로나 상비약 '타이레놀' 쏠림 분산…판피린·콜대원↑ (0) | 2022.09.13 |
뇌기능개선 아세틸-엘-카르니틴 제제 회수·폐기 명령 (0) | 2022.09.08 |
대한약사회 "의약품 온라인 판매 & 구매는 불법입니다" (0) | 2022.09.07 |
약사 52%, 보험일반약 비급여 찬성...'품목확대' 시급 (0) | 2022.09.05 |